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화기관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by 달러버는아부지 2023. 5. 13.
반응형

 소화기관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소화기관의 종류와특징
소화기관의 종류와특징

입이란 입술부터 목구명의 인두 시작 부위까지를 말하고, 입안의 공간을 구강이 라고 말해요. 소화가 시작되는 곳으로, 소화 계통 중 유일하게 직접 볼 수 있는 기관이죠. 입은 크게 세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어요. 첫째, 소화의 기능이자 입구로서 음식물을 섭취하고, 둘째는 음식의 맛을 느끼는 미각작용을 하고 나머지 셋째는 입으로 소리를 내는 구음작용이에요. 이가 음식을 잘게 부수는 동안 주름진 입천장은 제대로 씹히지 않은 음식이 목구 명으로 넘어가지 않게 막아 주고, 혀 밑과 옆에 있는 침샘은 소화 효소가 들어 있 는 침을 분비하며, 침은 음식을 소화되기 쉬운 걸쭉한 상태로 만들어요. 그리고 혀 는 음식의 맛을 느끼고, 입안에서 음식을 굴려서 목구멍으로 넘기는 것이다. 입은 바이러스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식도

인두와 위 사이를 연결해주는 기관으로 다른 부분에 비해 곧으며, 길이는 약 25~30cmo이다. 꿈틀 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위로 이동시켜주며, 위속 음식물이 식도 쪽으로 올라오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상부와 하부에 조임근이 발달되어 있다. 식도의 구조는 점막, 점막하조직, 근육층, 외막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위장관과는 달리 식도는 장막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다. 역류성 식도질환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이외에 감염성 질환, 식도암 등이 발생 할 수 있다.

 

위는  본격적으로 소화가 시작되는 기관이다. 음 식물의 살균과 소화를 담당하는 위액을 분비하는데 위의 내벽세포에서는 펩시노겐 과 염산을 분비한다. 염산은 강한 산으로 음식물에 섞여 있는 세균과 미생물을 없 애준다. 그러나 이렇게 강한 산에도 위는 손상 받지 않는데, 그 이유는 위의 내벽 에서 뮤신이 분비되어 위를 보호하기 때문이다. 또한, 염산에 의해 펩시노겐이 활성화되어 펩신을 만들어 단백질을 분해하는 소화가 일어난다 위에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간단하게는 '소화불량'이 있다. 소화불량은 위장의 운동기능이 저하되어 음식을 제대로 분해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음식물이 위에 걸려있는 답답한 증상이 나타난다. '위산과다'는 위벽을 보호하는 뮤신보다 의사(염산)이 많이 분비되어 속 쓰림이 나티나는 증상으로, 더 진전되면 위벽이 소상되어 위궤양이 된다. 이외에도 신경성으로 나타나는 위염은 스트레스로 자율 시경계의 이상으로 발생이 되며, 위암으로 발전이 되기도 한다.

 소장

소장은 작은창자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제일 윗부분이 심이지장(샘창자), 종간이 공장(빈창자), 제일 아래쪽에 있는 회장(돌창자)이 있는 데 회장은 대장(큰창자)하고 이어지는 부위다. 소장은 전체 길이가 약 6~7m 정도이고, 위와 대장 사이에서 소화운동을 하면서 영양분을 소화흡수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십이지장에서는 위액에 의해 죽처럼 된 음식물은 소장을 통과하는 사이에 소장벽 에서 분비되는 장액, 간에서 만들어지는 담즙, 췌장에서 나오는 췌장액 등과 혼 합된다. 두 소화액을 음식 에 뿌려서 공장으로 내려 보내는 것이다. 참고로 십이 지장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길이가 손가락 열 두 개를 나란히 늘어놓은 것과 비슷 한 25cm 정도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렇게 다양한 소화 효소들에 의해 분해된 영양분들은 공장과 회장의 용모에서 흡수되어 우리 몸의 에너지가 된다. 

 대장

대장은 소장부터 항문까지의 장기로 길이는 1.5m 정도로 맹장(막창자), 충수(마 창자꼬리). 결장(잘록창자), 직장(곧창자) 및 항문관으로 구성된다. 대장은 보통 세균에 의해 분해된 가스로 차 있으며 음식물의 분해 과정에는 참에 하지 않고 수분을 흡수하고 소화되지 않는 음식물을 저장, 배설하는 역할을 한다. 발효와 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탄산가스와 산성 종말 산물, 수소, 메탄 및 독성 아 민 등으로 대변이 만들어진다. 대장은 질병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기관이다. 관련 질병으로는 대장암, 대장용종. 과민성장증후군, 궤양성대장염 및 크론병, 결핵성장염, 감염성 설사 및 대장염, 혈관성장질환, 대장게실증, 장폐쇄 등이 있다.

 항문

항문은 소화기관의 마지막 부분으로 직장에서 이어져 외부 출구를 이루는 골반저 근육과 직장이 만나는 부분에서부터 항문과 피부가 만나는 항문 가장자리까지를 항문관이라 하고 길이는 3~4cm이다. 속조임근(내괄약근), 바깥조임근(외괄약근)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휴식 중에는 오 프려져 있다가 배변 시에만 열려 배변 조절에 관여한다. 항문에서 발생 가능한 질병은 변실금, 직장탈출증(탈항), 치핵, 치열, 항문주위농양, 치루, 크론병, 항문 암 등이 있다. 

 

 

반응형

댓글